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는 아이들의 언어 발달, 사회성 발달에 큰 피해를 끼쳤습니다. 사회성은 다른 사람과 어울리고, 상대를 배려하며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입니다. 이 글에서는 사회성 체크리스트, 사회성 발달 촉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성 부족으로 생기는 문제들
유아기에 사회성이 잘 발달되지 않으면 학령기에 되었을때 또래 관계에서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회성이 부족하여 또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은 물론이요, 중고등학교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또래 관계가 좋아지기도 하고 나빠지기도 합니다. 아이의 발달 단계, 같은 반 아이들의 성향, 가정 문제 등이 사회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내 자녀가 또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혹시 사회성이 부족하지 않은지 진단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유아기~초등 저학년 사회성 체크리스트
- 작은 일에도 화를 내거나 눈물을 보인다.
- 또래 관계에 문제가 생겼을때 회피하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보인다.
- 규칙을 지키는 것을 어려워한다.
- 입학이나 진학 같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 마음에 들지 않으면 폭력을 행사한다.
-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밖에 모른다.
내 아이의 사회성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보세요. 커가며 좋아질 것이라 착각하여 골든타임을 놓치는 가정이 많습니다.
친구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소아 우울증 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집중력이 떨어져 학업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호미로 막을 것 가래로 막는다’는 속담처럼 아이의 사회성 또한 가볍게 여기면 아이의 행복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습니다.
유아기 사회성 발달 촉진 방법은?
- 건강한 애착 형성하기 : 주양육자와의 애착은 타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주양육자와 건강한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아이는 성인이 되어서까지 불안정한 인간관계를 맺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감정은 공감해주되 행동은 한계를 설정해 주기 : 부모님의 애정 속에서 자란 아이는 자연스럽게 타인을 배려하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아이의 감정 표현을 지지해주되 공동체에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알려주세요.
- 부모가 먼저 모범 보이기 : 부모가 인사하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인사를 잘 하는 법입니다. 아이 앞에서 먼저 인사하고, 타인과 정겹게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세요.
- 실수 허용하기 : 아이가 실수하더라도 조금 기다려주세요. 아이가 실수했을때 엄마가 보이는 반응은 아이의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의 자존감 키워주는 방법
자존감 부족은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는데 큰 방해물이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너무 과잉보호는 금물입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세요.
또한 아이 앞에서 부부간 행복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세요. 부부싸움을 자주하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열등감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열등감을 가진 아이는 친구에게 먼저 다가가는 것을 힘들어하고 상처를 잘 받습니다. ‘말을 걸어보고 싶은데 무시하면 어떡하지?’라는 생각 때문에 힘들어합니다. 부부간 소통하고 긍정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